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YSQL
- 통계학입문
- SQL
- 데이터분석준전문가
- nlp
- 데이터분석전문가
- docker
- RNN
- ML Ops
- ADsP
- SQLP
- LLM
- bigquery
- gnn
- 통계방법론
- SQLD
- CS224W
- 머신러닝
- Level 2
- level 1
- 자연어처리
- 프레임워크
- 포아송분포
- Kubernetes
- 인공지능
- MLOps
- Ai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언어모델
- Today
- Total
코드 깎는 PM
재무관리 #1 - 자사주 매입 본문
1. 정의
: 자사주 매입이란 자사의 현금을 지불하여 자기주식(자기 회사의 주식)을 매입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2. 효과
1) 주주 가치의 재고
: 자사주 매입은 시장 내 자사 주식의 공급량(물량)을 줄여서 주가를 올리는 행위이다. 때문에, 시장 주가가 너무 떨어진 경우에 자사주를 매입해서 주주가치를 재고(주가 회복)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현금을 시장에 풀어 자기주식의 공급량을 줄여 주가를 회복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회사가 기업의 이익(현금)을 주주에게 돌리는 것과 유사하다.
2) 경영권 방어
: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에는 경영권 방어의 목적도 있다. 기본적으로 자사주에는 투표권이 없지만, 주식을 구매하는 상대방에게는 투표권이 있다. 때문에 자사주를 구입하는 것은 직접 투표권을 행사하지는 못하더라도, 사대방의 투표권이 강해지는 것을 방어할 수는 있기 때문에 적대적 공격을 방어하는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 - P.S. '자사주에도 투표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자사주의 마법'
- 기본적으로 자사주에는 투표권이 없지만, 분할, 구조 조정 시에는 투표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경영권 방어와 동시에 이후 발생할 수 있을 투표권을 위해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3) 배당 효과를 위한 매입
: 배당의 목표는 기본적으로 주주들에게 기업의 이익을 돌려주는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도 기업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배당효과'를 위해 주주들로 부터 자사주를 매입하는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면 주가 상승과 주주들에게로의 이익 환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S. 자사주 매입의 Good Point!
- 자사주 매입의 경우 배당락이 없다. 때문에 주주와 기업에게 모두 유리한 측면이 있다.
- '배당락(落)'이란?
- 배당권리가 마감되는 시점에 주식가치가 떨어지는 현상
- Ex, 대표적으로 삼성전자는 연말에 배당을 진행한 후 1월 2일에 가격이 떨어진 채로 거래된다. 이는 주주들이 받을 수 있는 배당 이익이 소멸되었기 때문에 배당이익을 위해 잠시 들어온 주주들이 주식을 매도하며 발생하는 현상이다.
- '배당락(落)'이란?
- 또한, 자사주 매입은 배당을 통한 이자소득세 부담이 없다.
- 배당을 통한 이득이 발생할 경우 15.4%의 이자소득세를 지불해야한다. (국세 14% + 지방세 1.4% = 15.4%)
- 그러나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효과는 주가 변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자소득이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주가 변동으로 인한 이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양도차익(시세차익)에 과세하지만, 소액주주에 대해서는 양도차익을 과세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배당을 통한 이자소득세에서 자유로워진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4) 배당률 고정 회피 효과
: 일반적으로 배당률은 한번 변경하는 경우(올리는 경우) 다시 변경할 때(낮출 때) 주주들의 반발이 심하다. 그러나 자사주 매입의 경우 기업이 유동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기업의 '선의'에 의한 행동이라는 인식이 많아서 반발이 상대적으로 적다. 때문에, 1) 배당률을 추가적으로 줄여야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으며, 2) 자사주 매입은 줄어도 주주들의 반발이 적기 때문에 배당률을 고정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기업에게 유리하다.
3. 회계처리
1) 타사주식 매입
: 타사주식은 말 그대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사오는 것이다. 때문에 타사주식은 '자산'이다.
또한, 배당을 받을 수 있으며, 의결권도 갖고 있다.
- (차변) 현금 -10
- (차변) 금융자산 +10
2) 자기주식 매입
: 자사주 매입은 회계상에서 기본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주주들에게 빌린 차입금을 갚는 것과 같이 기록된다. 때문에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자본의 감소로 기록된다. (즉, 자사주는 자산이 아니다.)
- (차변) 현금 -10
- (대변) 자기주식 -10
만약 자사주를 자산 처리한다면, 이익(Return)은 일정한데 자산(Asset)만 증가하여 ROA(Return over Asset)가 과소평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 ROA = {Return \over Asset} $$
- P.S. '자사주 매입이 차입금 상환이라구요..?'
- 경영진의 관점에서는 부채 ≒ 자본이다.
- Why? 결국에는 자본도 회사 청산시에는 결국 주주들에게 돌려주어야 하는 돈이기 때문.
- ∴ 1) 주식 발행 ≒ 은행 대출, 2) 자사주 매입 ≒ 대출 상환
- 차이점은 요구수익률이 다르다는 점 (채권자 < 주주)
- '왜 주주가 요구수익률이 높은가요?'
- 청산시 주주에게 돌아오는 순위가 후순위이기 때문에 High Risk에 따른 High Return을 기대하기 때문
4. Case Study -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자사주 비율은 12%로 굉장히 높은데 왜 주가는 안오르죠..?
앞에서는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만 언급했지만, 자사주 매입에도 당연히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효과는 '자사주 매각'이다. 자사주 매입으로 시장 내 자가 주식 공급량이 적어져 가격이 올랐던 것과 같이 반대로 자사 주식의 공급량이 많이 풀리는 경우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때문에 자사주 매입은 단기적으로는 호재이지만, 만약 회사가 매입한 자사주를 감자하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매입한 물량을 시장애 내놓을 것이기 때문에 우려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 '감자'란?
- 감자는 주식을 소각하는 행위이다.
- 시장에 풀릴 수 있었던 주식을 영구적으로 소각하는 행위로, 주주에게 주식발행으로 차입했던 금액을 영구적으로 상환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 '자사주 매입'과의 차이는?
- 감자가 영구적으로 시장에 풀릴 주식 수를 줄인 것과는 대비되게 자사주 매입은 당장 시장에 유통되어 있는 주식 수는 줄이지만, 소각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시장에 풀릴 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상한이다.
- 혹은, 주가가 과소평가되어 있을 때 구매해서, 고평가되어 있을 때 판매하는 경우 시세차익을 통해 시장에서의 주주 이익을 침해할 수도 있다.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삼성전자가 자사주 비율이 높다는 것은 시장에서 주주들의 이익 보존을 위해 많은 현금을 유통했다고도 볼 수 있지만, 12%만큼의 주식이 시장에 나올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항상 갖고 있는 것이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보유 주식 가치의 12%하락)
때문에, 주주들은 항상 기업에게 보유 자사주를 소각할 것을 요청하게 된다. 미국의 소각률이 70~80%이고, 한국의 소각률이 20~30%라는 점을 고려하면 타당한 요청처럼 보인다. 그러나, 기업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자사주는 위기 상황에서 현금을 확보하기 위한 대비책이기 때문에 감자를 하는 것이 신중하게 된다.
한편, 이렇듯 시장에서 기업이 자사주를 판매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도 자사주를 판매하는 시점을 고를 때 신중해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주가가 많이 올라 주주들의 반발이 상대적으로 적은 호황기에 자사주를 매각하거나, 기업 임직원들에게 보상의 차원에서 자기주식을 나눠줄 수 있는 "Stock Option"을 많이 활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