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통계학입문
- ADsP
- 프로그래머스
- docker
- ML Ops
- 데이터분석준전문가
- RNN
- CS224W
- 자연어처리
- MYSQL
- 머신러닝
- Kubernetes
- Ai
- level 1
- bigquery
- LLM
- 데이터분석전문가
- Level 2
- 통계방법론
- nlp
- 인공지능
- 언어모델
- MLOps
- SQLD
- gnn
- SQL
- 프레임워크
- 포아송분포
- SQLP
- 코딩테스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7)
코드 깎는 PM

우리 제품이 시장에서 성장하려면 어떤 Action을 해야할까? R&D? 공격적인 마케팅? 신규 Product 런칭? 앤소프 매트릭스는 현재 자사가 1) 운영하고 있는 제품의 특징과 2) 진입해 있는(해야 하는) 시장의 특징을 기반으로 기업의 성장을 위해 어떤식의 전략을 추구해야하는 지를 사고하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때문에 위의 두 변수를 각각의 축으로 설정하면 크게 아래와 같은 4가지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시장침투 전략: 기존 시장 + 기존 제품 큰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사의 Margin (P-C)을 최소화하여 시장 내에서 점유율을 키워 이익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많이 나타난다. 이때, 자사의 마진을 감소만 시킨다고 소비자들의 EV (Economic Value: 만족도)가 증가하는..

0. ERRC의 목적 자원이 한정된 상태에서 액션 플랜을 구성할 때에는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경쟁우위의 확보를 위해 목표로 삼을 전략에 따라 실행 방식을 구분하느 프레임워크이다. 1) 비용절감 전략(Eliminate:제거 / Reduce:축소)과 2) 차별화 전략(Raise: 강화 / Create: 창조)으로 분류된다. ※ 경제적 가치(Economic Value) = 소비자 효용(Benefit) - Cost(기업 비용)의 B-C 프레임워크를 전제로 하며, 비용절감 전략(Eliminate:제거 / Reduce:축소)은 Cost 최소화를 목표로 하고, 차별화 전략(Raise: 강화 / Create: 창조)은 Benefit의 최대화를 목표로 한다. 이때, Economic Value는 시장 가격인 P(Pr..

시장에서 경쟁자와 자사의 Core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 구매자들이 구매하며 얻어가는 효익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Action Phases 산업을 대표할 수 있는 이름을 짓는다. 목표: 산업의 범위 구체화 경쟁자, 대체재, 대안재 포함 가능한 넓게 산업 경계를 설정한다. 변화될 모습이 아닌 현재의 상태로 작성한다. 산업 내 주요 요인들을 파악한다. (Key Driving Factors) 목표: 산업 내에서 주요했던 요인들을 시간 흐름과 함께 확인 가격은 최초 변수로 확정된다. 5~12개의 주요 경쟁 요인을 도출한다. (가격과 무관한) 주요 경쟁 요인들은 구매자 관점으로 작성한다. (Not 회사 관점) 주요 참여자를 결정한다. 목표: 비교 대상 선정 업계 선도자 선택 기타 과거/현재 경쟁 업체 선정 주..

AARRR는 Product 개선 시 고려해야하는 분류 체계로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Acquisition - 유입 2. Activation - 활성화 3. Retention - 유지 4. Referral - 입소문 / 오거닉 유입 5. Revenue - 매출 모든 Unit들은 결과적으로 Revenue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각 Funnel을 최적화해야하며, Business Unit안에서도 각 Funnel 단계에 따라 세부 팀을 나누어 KPI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독립적이되 유기적인 활동을 지속한다. (단, Revenue를 넘어서 Profit (Revenue - Cost)을 증대시키는 것이 최종 목표이긴 하나 Cost관리 보다는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이 성장 관점에서는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GA에서의 Terminology 1. 속성 : 스크립트를 발급받는 단위 → 웹사이트와 1 대 1 매칭이 된다. 2. GA4 : 웹과 앱 데이터를 수집 3.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 웹 특화 GA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은 크게 아래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GA에서 직접 JavaScript 코드를 발급받아 웹페이지의 유저 데이터를 트래킹하는 방법 2. GTM(Google Tag manager)을 통해 이벤트를 세팅하는 방식 첫번째로, GA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순서로 준비가 필요하다. 1. 데이터를 추적할 웹/앱 : HTML 수정 권한 2. GA 스크립트 : GA 계정 및 속성 3. GA 보고서 : GA 계정 및 보기 1. 속성 - 추적 정보 -데이터 수집에서 리마케팅/광고 보고..